관심사는 사람들이 어떤 것에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한 단어입니다. 앞으로 알려드릴 두 가지의 제품 찾는 방법 중 두 번째 인 관심사 기반으로 판매할 제품을 찾는 방법입니다. 관심사 기반이더라도 데이터 검증은 필수로 거쳐야 하며 관심분야 찾는 방법을 키워드 고르는 기준에서 선별하는 방법도 알아보게 됩니다. 그리고 관심사 기반 기획 프로세스에 따라 아이디어 떠올리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관심사 기반이더라도 데이터 검증은 필수
근데 사실 데이터 기반 제품 소싱 방법이 같이 사용됩니다. 그만큼 쇼핑몰을 키우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중요합니다. 굳건하게 할 사람들은 데이터 기반 제품 소싱 방법이 가장 정직합니다. 둘 중에 뭐가 좋다고 확신은 할 수 없습니다. 둘 다 서로 연관이 되어 있으며 제품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방법일 뿐입니다.
관심분야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는 전문가에 가까운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헬스장에 10년 동안 다닌 사람들은 단백질 식품, 운동기구에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전자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전자장비 또는 주변기기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또, 건강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각종 건강기능식품 또는 유기농 식품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스스로에게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 질문을 해봅시다. 주부라서 생활용품에 관심이 많다면 '생활용품' 카테고리에서 제품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학생이라서 전자기기를 좋아한다면 '디지털/가전' 카테고리에서 제품을 찾아봅시다. 만약 먹는 음식에 관심이 많다면 '식품'카테고리에서 찾아보면 됩니다. 필자는 강아지를 좋아하기 때문에 '반려동물' 카테고리에서 제품을 찾습니다.
키워드 고르는 기준
- 메인 키워드 검색량 3000 이상인지 확인 (3000 이하는 시장이 너무 작습니다.)
- 실 경쟁 강도 파악 하기 (모바일 기준으로 3번째 슬라이드에 속해야 합니다.)
※ 실 경쟁 강도란?
- S : 9위 내 구매 건수 100개 이하 7개 이상
- A : 9위 내 구매 건수 100개 이하 5개 이상
- B : 9위 내 구매 건수 100개 이하 3개 이상
- C : 9위 내 구매 건수 100개 이하 1-2개
- D : 9위 내 구매건수 없음
→ 실 경쟁 강도는 S와 가까울수록 좋으며 최소 B는 되어야 합니다.
→ 리뷰는 적으면 좋지만 리뷰보다 판매량이 더 많아야 합니다. - 쇼핑 탭이 첫 번째로 나오는 키워드인지 확인 (첫 번째로 안 나오면 쇼핑하려고 검색하는 키워드가 아닙니다.)
관심사 기반 제품 기획 프로세스
- 관심사 파악(의외로 스스로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생각해본다면 내가 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관련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데이터 기반으로 판매할 제품 찾기'
- 관련 유튜버 영상 시청, 관련 커뮤니티 가입 및 활동, 관련 키워드 검색, 관련 해시태그를 검색하여 트렌드를 파악하기
- 관심 있게 2,3을 실행하다 보면 '이런 제품이 유행이네', '이런 제품이 있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로 최종 검증하기
강아지 유모차
- 메인 키워드 검색량 3000 이상 → 검색량 4만 이상이므로 [충족]
- 실 경쟁자 강도 → 9위 내 구매 건수 100개 이하 9개로 [불충족]
- 쇼핑 탭이 첫 번째로 나오는 키워드로 [충족]
예를 들어, 이렇게 '강아지 유모차' 키워드가 유행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봤더니 검색량은 많았지만 실 경쟁자 수치에서 [불충족]이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 제품과 관련된 제품을 찾으면 됩니다. 예시에서 연관검색어를 찾아보니 쿠션이나 가드 같은 기능성이 있는 제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관심 있는 분야에서는 아이디어가 무궁무진하게 생각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계속 인지하고 찾아보면 우리가 유튜브를 보면서, 인스타를 보면서도 제품을 찾을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오르게 됩니다. 사람마다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열심히 생각해봐야 합니다. 본인은 스스로가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많은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그럼 여러분들도 분명히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입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성공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소싱 방법과 리스크 (0) | 2022.09.01 |
---|---|
매출의 차이, 매출 공식 (0) | 2022.09.01 |
빅데이터, 쇼핑몰 사고력 기르기 (0) | 2022.09.01 |
온라인으로 1억 만드는 루트 (0) | 2022.09.01 |
빠르게 성공을 버는 팁 (0) | 2022.09.01 |
댓글